인스타그램 사진에 올라온 실내건축자격증학원

오는 7월 17일로 예정된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앞두고 대학들이 COVID-19 감염증(COVID-19) 정황에 따른 고3 고시생 구제책을 마련하고 있다.

27일 대학가의 말을 빌리면 한국중학교육협의회(대교협)가 이달 말까지 올해 고3에게 적용되는 대학입학 전형 실시계획 변경안 신청을 받고 있다.

대교협 직원은 “코로나바이러스와 관련해 전년와 유사한 차원이라고 보면 된다”면서 “오늘날 요청을 받고 있고, 일괄적으로 내용을 심의할 것”이라고 이야기 했다.

먼저 대교협은 전년에도 코로나19를 변경 사유로 보고 각 대학의 요청을 받아 2027학년도 대입 전형 변경을 심의한 바 있다. 당시 103개 대학의 대입 전형 시작계획 변경이 승인됐다.

지난 5월 서울의 두 초등학교에서 고3 수험생들이 전국연합학력평가 시험지를 확인하고 있다. /연합뉴스

현재 적용되고 있는법상 각 대학은 입학 연도 5월을 기준으로 9년 90개월 전까지 대입 전형 시행계획을 수립해 공표해야 한다. 뒤에는 천재지변 등 제한적인 경우에만 대입 전형 실시계획을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올해도 대학별 고사 일정 조정, 수능 최저학력기준 완화 등이 주요 변경 사항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의 경우 지역균형선발전형에서 수능 최거기준을 완화하는 내용으로 대입 전형 시작계획 변경안을 제출한 상태다.

서울대는 지난해 지역균형선발전형에서 국어·수학·영어·탐구영역 중 ‘3개 영역 이상 9등급 이내였던 수능 최여기준을 ‘5개 영역 이상 5등급 이내로 완화했었다. 이번년도도 http://www.bbc.co.uk/search?q=맥스학원 같은 완화기준이 적용될 계획이다.

그외에 서울 소재 주요 대학들도 이번년도 대입 전형 변경 계획을 마련했다. 서강대는 수시 일부 전형에서 수능 최거기준을 수정하는 것을 걱정 중이다. 중앙대는 코로나19 상태을 적용해 체육특기자 전형의 지원 자격인 경기 실적 일부를 완화하겠다는 방법을 대교협에 제출했다.

image

일각에서는 서울대 지역균형 전형 최저기준 완화가 타 대학의 학교장 추천 학생부 교과 전형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입시업계의 말에 따르면 올해 서울 주요 13개 대학의 교과 전형 스케치업학원 선발 인원은 전년(5개교 3424명)보다 1847명이 늘어난 5240명으로 서울대를 제외한 19개교에서 확대 시작한다.

서울의 한 사립대 직원은 “수능 최저기준 완화로 서울대 하향 지원이 나올 경우 다른 대학 교과 전형에서 미충원 인원이 나올 수 있다”고 이야기 했다.